체리피커 의미 현명한 체리슈머 차이 및 의미

안녕하세요 견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체리피커의 의미, 그리고 체리슈머의 차이점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체리피킹에 대해 알아보면.. 체리농장에서 체리를 수확할 때 잘 익은 체리만을 선택적으로 수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주로 원하는 부분만 골라서 선택하거나 수집하는 행동을 의미하는데,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 부분이나 가장 좋은 부분만 선택하는 행동을 의미하며, 이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즉 체리피커의 의미는 특정 영역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고르거나 수집하는 행동을 의미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용어입니다.
간단히 비유하자면..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고 선택할 때 특정 기준에 따라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는 것입니다.

체리피커 체리슈머의 차이점은?!

둘 다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체리피커는 조금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고 예를 들어 일정 금액 이상을 사용하면 캐시백 이벤트를 하는 신용카드를 만들어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과 혜택만 활용해 해지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은 신용카드사 입장에서는 실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매출 실적을 올려야 하는데 카드 혜택 부분만 떼어 해지하면 오히려 적자가 발생하게 되는 거죠 또는 사은품을 받기 위해 상담만 받고 계약은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블랙컨슈머까지는 아니지만.. 회사 입장에서는 얌전히 소비자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

체리슈머는 체리피킹과 컨슈머를 합친 용어로 보다 긍정적이고 현명한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모.. 사실 한치의 차이이긴 합니다만..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하기보다는 긍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합리적이고 현명한 소비자로 우선순위와 특정 기준에 따라 현명한 소비를 함으로써 할인이나 특별한 혜택이 있는 물건을 구입하거나 가전제품을 구입할 때 자신이 필요한 기능만을 탑재한 물건을 구입하는 것이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를 들면..배송료를 절약하기 위해 물건을 함께 구입하거나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도 있으며 중고 플랫폼 당근마켓의 ‘같이 삽시다’라는 서비스는 대량구매를 하면 싸지는 물건을 이웃끼리 구입하거나 배달음식을 주문할 때 여러 사람이 함께 주문해 배달비를 절약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잘 연구한다면 기업 입장에서도 이들을 겨냥한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경우를 예로 들어봅시다!
저는 보험료, 아파트 관리비 등등.. 한 달에 나오는 고정지출이 80만원 정도 됩니다.
그래서.. 신용카드 2장을 만들어서 통신비 할인을 총 30,000원 정도 받고 있는데, 카드당 한달에 30만원 이상 실적을 쌓으면 통신비 할인을 해주고 있어요.회사입장에서는 매달 매출실적이 있는거고, 제 입장에서는 매달 30,000원 이상의 통신비 할인을 받고 있는거죠^^그리고 넷플릭스를 친구 3명과 공유하여 요금을 절약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최선의 소비를 하는 체리슈머!
우리 모두가 지향해야 할 모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럼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