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슨병 (Willson disease): 원인을 알수 없는 다양한 증상이 청소년기에 나타난다면…

윌슨병은 청소년기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이번 글에서는 윌슨병의 개요, 증상, 원인, 진단,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윌슨병 : 청소년기에 원인불명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1. 윌슨병이란 무엇입니까?

윌슨병(간내막 변성)은 구리 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주로 간과 뇌의 기저핵에 과도한 양의 구리가 축적되는 유전 질환입니다.
이 질병은 1912년 윌슨(Wilson)이 가족력이 있는 환자를 관찰하면서 처음 알려졌으며, 전 세계적으로 3만~10만 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유전질환이다.
윌슨병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환자에게 간경변증과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윌슨병 증상

윌슨병의 주요 증상은 간질환과 신경질환이며, 때로는 정신과적인 문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윌슨병의 증상은 환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환자는 주로 15세 이전에 간질환을 경험하며, 15세 이후에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간 이상 간 이상은 윌슨병의 초기 증상으로 구리 축적으로 인해 간 효소 수치가 증가하고 간이 비대해질 수 있다.
이후 만성활동성간염, 간경변, 문맥압항진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급성전격간염의 경우 심각한 간혼수상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

말기 간경변증, 어떻게 이해하고 준비해야 할까?
이런 간경변증 초기 증상을 보인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간경변복수, 어떻게 관리하고 대처해야 할까요?
신경계 이상 신경계 이상은 기저핵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청소년기에 가장 자주 나타납니다.
증상은 구음장애, 연하곤란, 무표정한 얼굴, 비정상적인 안구 운동, 미세 운동 장애, 근긴장 이상 등 다양합니다.
구리 중독으로 인해 과잉행동, 불안 또는 두려움, 감정 조절 장애, 집중력 장애 등 정신과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장 흔한 증상은 비정상적인 행동입니다.
안과 이상에는 각막 고리(Kayser-Fleischer 고리)가 포함되며, 이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막고리(Kaiser-Fleischer고리)

기타 증상 윌슨병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혈액 이상은 용혈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고, 신장 이상은 근위세뇨관 손상으로 인한 혈뇨, 아미노산뇨, 소변비중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골격 이상은 골다공증, 구루병, 과인산뇨증으로 인한 뼈 골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관절통과 내분비 이상도 윌슨병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윌슨병의 원인

윌슨병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부모가 모두 보인자인 경우 자녀가 질병에 걸릴 확률은 25%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90~100명 중 1명이 윌슨병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윌슨병은 구리 수송 P형 ATPase(ATP7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유전자는 13번 염색체 장완의 q14.3에 위치하며 구리 흡수에 관여하는 효소입니다.
구리는 유전적 이상으로 인해 간세포에서 미세담도관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세룰로플라스민과 결합하지 못하여 혈액으로 배설되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간세포, 적혈구, 뇌 등의 장기에 구리가 침착되어 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윌슨 유전자의 발견 이후 윌슨 유전자에 대한 돌연변이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를 통해 전체 윌슨병 환자의 약 80%에서 ATP7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동양과 서양의 유전자 돌연변이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R778L 돌연변이가 가장 흔하며 환자의 약 30%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A874V와 N1270S 돌연변이는 우리나라 환자의 약 15%에서 발견되며 비교적 흔한 돌연변이로 알려져 있다.

4. 윌슨병 진단

윌슨병은 임상적, 생화학적, 분자유전학적 소견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윌슨병은 만성 간질환이나 비정상적인 간염 패턴이 어린이나 젊은 성인에게 나타날 때 의심됩니다.
특히, 윌슨병은 사춘기 이후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거나 급성 용혈성 빈혈, 판코니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는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간질환 환자에서 용혈이 발생한 경우에도 윌슨병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윌슨병의 임상적, 생화학적 진단은 특징적인 각막 병변, 신경학적 이상, 셀룰로플라스민 수치 감소, 요로 구리 배설 증가, 간 내 구리 양 증가 등을 고려합니다.
또한 급성 또는 만성 간질환, 신경질환, 급성 용혈, 정신질환, 행동장애, 신장기능 저하 등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이 나타나면 윌슨병을 의심해야 한다.
검사 결과 대부분의 환자에서 혈청 세룰로플라스민이 감소하고 소변 구리 배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자유전학적 진단은 ATP7B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찾아 진단하는 방법이다.
약 80%의 환자에서 유전적 이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임상적, 생화학적 진단방법과 병행하여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방법은 환자의 가족이나 친척에서 동일한 돌연변이를 검색할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방법을 통해 윌슨병을 확인한 후 가족 내에서 산전진단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5. 윌슨병의 치료

식이요법 윌슨병의 식이요법은 과도한 구리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구리 섭취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상적으로는 구리 섭취량을 하루 1mg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구리 섭취량을 1~1.5mg 늘릴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하루 1mg을 유지해야 합니다.
식이 조절에는 구리 함량이 높은 음식을 제한해야 합니다.
구리 함량이 높은 식품에는 버섯, 코코아, 간, 생선 및 조개류(굴, 조개), 견과류, 초콜릿, 말린 과일, 바나나, 토마토, 포도, 땅콩, 밤, 감자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음식의 섭취를 제한하여 구리 섭취량을 조절하십시오. 식단은 구리의 과도한 섭취를 막아 증상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중한 음식 선택과 요리를 통해 구리 섭취를 제한하면 윌슨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윌슨병의 의학적 치료는 구리 흡수 억제제와 구리 배설 자극제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약물을 선택합니다.

구리 흡수 억제제

아연염(아세트산아연 또는 황산아연)은 경미한 간 기능 장애가 있는 무증상 소아의 초기 치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구리 촉진제 사용으로 인해 신체의 구리 수준이 감소한 성인의 유지 요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어린이의 경우 아연 25mg을 하루 3회, 성인의 경우 아연 50mg을 하루 3회 복용하세요. 약은 식사 사이, 공복에 복용해야 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철결핍성 빈혈과 위장 장애 등이 있습니다.
24시간 소변으로의 구리 배설량은 75ug 미만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구리 배설 자극제

구리 배설 자극제에는 페니실라민(D-페니실라민)과 트리엔틴이 포함됩니다.
페니실라민은 구리와 결합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는 약물입니다.
소변의 구리 배설을 증가시키고 구리의 축적을 방지합니다.
트리엔틴은 페니실라민과 유사하게 작용하며 구리 배설을 돕습니다.
이 약물은 구리 축적을 줄이고 증상을 개선합니다.
약물요법은 수개월에서 1년 이상 소요되며, 치료 효과는 점차적으로 나타납니다.
약을 복용함에 따라 소변으로의 구리 배설이 증가하고 체내에 축적된 구리가 배설됩니다.
그 결과, 증상이 점차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의료 전문가의 지도하에 시행되어야 하며 부작용이나 개인적 반응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비타민E는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으며, 윌슨병 환자의 경우 비타민E 수치가 낮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항산화 효과를 기대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아직 과학적 효과가 명확하게 입증되지는 않았다.
간이식, 수술적 치료
윌슨병이후 간기능 장애나 간경변증이 발생하면 간이식을 고려해야 한다.
간이식은 환자에게 건강한 간을 이식해 간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방법이다.
윌슨병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예후가 매우 좋으며, 간 기능이 악화되기 전에 간 이식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 이식은 뇌사자 간 이식과 생체 부분 간 이식의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됩니다.
뇌사간이식은 뇌사자의 간 전체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이다.
간이식에는 뇌사 환자에 대한 전간이식과 뇌사환자에 대한 부분 간이식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생체부분간이식은 건강한 사람의 간의 일부를 적출해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기증자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간은 재생능력이 강한 장기이기 때문에 생활 부분 간이식 후에도 건강한 간으로 재생될 수 있습니다.
간이식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합병증으로는 간동맥 혈전증, 문맥 혈전증, 담도 협착증, 담즙 누출, 감염, 거부반응, 신부전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간이식 후에는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을 평생 투여해야 한다.
#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간경변복수, 어떻게 관리하고 대처해야 할까요?
말기 간경변증, 어떻게 이해하고 준비해야 할까?
이런 간경변증 초기 증상을 보인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부전: 이해, 증상, 원인, 진단, 치료 및 합병증